코다이 – 아시아 민족음악교육 네트워크
코다이 – 아시아 민족음악교육 네트워크
“Music, a Universal Language around Asia”
Kodaly-Asia Folk Music Education Network
코다이 시스템에 의한 강강술래 지도가 유아의 음악성 개발에 미치는 효과 – 5세아 중심으로 –
김정화 (대한민국, 대구산업정보대학 유아교육과 교수)
1. 서론
오늘날, 코다이 시스템을 민속음악지도에 활용함으로써 민족성 정립과 더불어 전통음악문화 의식을 고취하는 교육활동은 세계 각국에서 보편화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조홍기가 한국 코다이음악교육 연구소를 창립하고 코다이 시스템 보급에 열정을 다함으로써 한국의 민속음악교육에 지대한 발전을 가져오게 하였다.
한국의 민속음악 중, 우리 민족의 본성을 둥쳐 안고 있는 강강술래는 한겨레가 지녀왔던 문화적 흐름의 이정표가 될 수 있는 원류적인 음악예술이라고 할 수 있다(노동은, 2002). 강강술래는 우리의 민족생활이 시작되면서부터 생성된 가무(歌舞)이다. 고조선시대부터 휘영청 밝은 달 아래에서 손에 손을 맞잡고 빙글빙글 돌면서 농경민족으로서의 풍요로운 수확과 공동체적인 두레정서를 풀어내었던 노래와 춤과 놀이이었므로 강강술래야말로 우리민족성의 원형이 될 수 있겠다(임재해, 2004).
강강술래가 수천 년을 두고 전승되었다는 것은 그만큼 겨레의 마음 속에 공감대가 질기도록 잔재해 있었다는 것을 의미한다(임동권, 1986). 강강술래는 사회적, 과학적, 창의적, 종합예술적인 놀이요 노래며 춤이었음이 증명되어 있다.(노정숙, 1995). 강강술래를 통하여 오늘날까지 민속 문화 속에 면면히 흐르는 우리 민족의 정서, 협동심, 질서감, 화목정신, 인류애, 주체성, 집단성 등이 전승되어왔다(이영이, 1991).
그래서,연구자는 한국 민속음악의 뿌리인 ‘강강술래’에 민속음악지도의 필수적 관문인 코다이 시스템을 적용하여 음악지도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유아의 음악성 개발에 미치는 효과에 대하여 실험하고 분석하고자 한다.
Ⅱ. 이론적 배경
1. 코다이 시스템(Kodàly System)에 대한 이론
Kodàly는 모든 이의 음악적 소양의 향상과 민족음악문화의 창달을 위하여 솔페이지 훈련을 강화하고 합창운동을 활성화하는 가운데 가창을 토대로 한 범국민적 음악교육운동을 지향하였다. 이를 위한 기본 방법으로 집합적 노래부르기와 상대계명창을 주장하였으며 궁극적으로는 포괄적인 음악지식의 창조를 추구하였다.
Kodàly는 음악지도를 어릴 적부터 시작하도록 권장하였고, 될 수 있는대로 참여를 통하여 경험되어야 하며, 모국어를 배우듯이 일상적으로 익혀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Kodàly는 모든 사람에게 주어진 자연 악기인 목소리를 활용하여 ‘함께 노래부르기’를 일상화하도록 독려하였으며, 무엇보다 민속음악을 주교재로 사용하여야 한다고 하였다(김정화, 1998).
Kodàly 시스템은 아동 발달의 심리에 따른 단계적, 체계적인 학습을 도모하였고, 아동의 음악성이 개별적으로 개발되도록 구상되었다. 또한 민요의 5음음계를 바탕으로 그룹학습의 장점을 효과적으로 활용하였으며, 독보력 및 청음력을 신장할 수 있도록 합창 지도하였다. 특히 손기호, 내청법, 내창법을 개발하여 음악지도에 효과적으로 활용되었다(조홍기, 1994).
Kodàly는 간략한 리듬음절 기보법을 개발하여 편리하게 사용하도록 하였고, 시각적인 음악기보법을 활용함으로써 효율적인 음악지도를 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외에 응답놀이, 전달놀이, 기억놀이, 리듬말의 기보, 리듬말 놀이, 챤팅, 케논, 오스티나토, 빠르기변화, 창작놀이 등을 활용함으로써 즐겁고도 쉽고 교육적인 음악지도가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Kodàly는 형식구조 원리와 화성원리를 파악할 수 있도록 다양한 방법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음색지도를 하기 위하여 흥미진진한 놀이를 고안해내기도 하였다.
2. 강강술래에 대한 이론
강강술래는 우리나라 고대 부족사회의 민중공동체적 축제에서 남녀가 함께 어울렸던 원시적인 노래와 춤으로서 우리 민족의 강한 생명력을 느낌과 더불어 민족으로서의 공감대를 형성해온 노래와 춤이다(심우성, 1996). 우리 나라는 삼한시대부터 주로 제천의식에서 춤을 추었다는 기록이 있다(김동욱, 1990).
강강술래는 주로 한가위 밤에 놀아왔지만정월 대보름 밤을 비롯하여 24절기 어느 때든지 달 밝은 밤에 수시로 놀아왔다고 한다. 1966년에는 우리나라 민속놀이 가운데 대표적인 여성놀이로서 중요 무형문화재 제8호로 지정되었다.
강강술래 춤은 그 기본 움직임이 반복되므로 한번 익히게 되면 누구나가 함께 어울려 춤출 수 있는 춤사위로 구성되어 있었으며, 또한 원진을 이뤄 원무를 춤으로써 공동체적 일체감, 흥의 고조, 역동성 창출을 이루고 있었다. 강강술래 춤은 앞소리와 뒷소리가 춤의 반주인 소리춤으로서 생활자체와 생활언어를 선후창의 방식으로 담아냄으로써 그 내용을 구성원 모두가 공감하게 하고 생활의 몸짓이 정서와 실제를 표현한 가사의 내용에 따라 구체적인 춤사위로 형상화됨으로써 공동의 통일된 움직임이 될 수 있는 특성을 지니고 있었다(김경숙,1991).
3. 5세아의 음악적 흡수력에 대하여
5세아는 대체로 아래와 같이 음악적 성장발달을 이룬다.
(1) 리듬에 대한 발달현상
① 보다 넓은 공간에서 다양한 몸동작을 시도하려고 한다(McDonald, 1979).
② 느린 박보다는 빠른 박의 기본박을 더 쉽게 따를 수 있다.
③ 리듬에 맞춰 손뼉을 칠 수 있고, 박자에 맞춰 움직일 수 있다(오명숙, 1995).
(2) 멜로디에 대한 발달현상
① 음높이에 따라 다르게 반응한다(Aranoff,1971).
② 악절의 시작과 끝을 감지한다.
③ 친숙한 악절을 인식하고, 그 윤곽과 리듬에 따라 노래할 수 있다.
(3) 노래에 대한 발달현상
① 음의 고저와 속도를 더 잘 변화시키면서 노래부를 수 있다.
② 다른 유아와 함께 노래부르기를 좋아한다(성경희, 1988).
③ 짧은 몇 개의 음으로 스스로 챤트를 만들어 노래할 수 있다(Andress, 1973).
(4) 악기에 대한 발달현상
① 바이올린, 클라리넷, 첼로, 플루트 등의 음색을 구별할 수 있다(McDonald, 1979).
② 악기를 사용하여 각자의 음악적 느낌을 표현할 수 있다(성경희, 1988).
③ 간단한 리듬악기 및 선율악기를 다룰 수 있다(Nye, 1975).
Ⅲ. 강강술래 프로그램의 제시
1. 프로그램 구성의 전제
연구자는 아래와 같은 전제 하에서 음악능력 향상을 위한 유아용 강강술래 프로그램 모형을 계획하였다.
1) 코다이 시스템을 우선적으로 적용한다.
2) 5세아의 성장수준과 음악적 흡수 능력 등을 고려한다.
3) 단계적ㆍ체계적인 음악성장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편성한다.
4) 우리 민족성의 정수인 ‘우주성’을 내포한다(김정화, 2005).
1. 커리큘럼에 적용한 음악적 요소 및 행위
연구자는 유아들이 강강술래를 즐겁게 체험하는 가운데 코다이교수법에 의하여 음악성이 신장될 수 있도록 아래와 같은 음악적 요소 및 행위를 적용하였다.
지도영역
지도방법
리듬
박자 / 리듬기호 / 리듬음절 / 강약 / 리듬프레이즈 / 챤팅 / 리듬전달 / 리듬치기 / 마디감각 / 리듬카드 / 빠르기변화 / 메아리멜로디 / 리듬응답 / 리듬릴레이 / 리듬캐논 / 리듬오스티나토 / 리듬반주 / 리듬기호
멜로디
손기호 / 음표놀이 / 이름부르기 / 멜로디캐논 / 멜로디오스티나토 / 계이름 읽기 / 허밍 / 사다리음계놀이 / 음표막대놀이
듣기
비교 / 음색 / 기억 / 내청 / 감상
형식
문답형식 / 민속음악형식 / 민요형식 / 종지형식
창작
이름부르기 / 응답놀이 / 빈마디채우기 / 멜로디발전 / 리듬빈마디창작 / 멜로디빈마디창작
기악
피아노 / 실로폰 / 멜로디온 / 소고 / 징 / 장구 / 북 / 꽹과리 / 바라 / 목탁 / 트라이앵글 / 우드블럭 / 탬버린 / 마라카스 / 큰북 / 작은북 /심벌즈/ 방울
놀이
소공간놀이 / 대공간놀이 / 소근육놀이 / 대근육놀이 / 1인 놀이 / 소집단놀이 / 대집단놀이 / 실내놀이 / 실외놀이
<표Ⅱ-1> 강강술래 활동을 하기 위한 음악적 요소 및 행위
3. 유아지도용 강강술래 프로그램 모형
본 강강술래 프로그램 모형에서는 강강술래ㆍ대문놀이ㆍ고사리 꺾자ㆍ청어엮자ㆍ덕석몰이를 각 곡 별로 체득하고 결과적으로는 연결하여 한 강강술래 작품이 완성되도록 하였다.
1) 강강술래
구분
내용
해설
강강술래는 ‘크고도 큰 수레’라는 의미로서 농경민족의 염원인 큰 수확을 기원하는 주문어에서 생성되었다.지역과 상황에 따라 각기 다른 앞소리가 붙게 된다.
악보
<앞소리> 강 강 - 술 - 래 강 강 - 술 - 래
m m l l d l m m l t l l
<뒷소리> 달아 달 아 밝 은달아 우 리마 을비 춘 달아
l l l m m d l l l d m d l l d l
방법
둥글게 서서 손을 마주 잡고 천천히 - 조금 빠르게 -빠르게 -조금 느리게 - 느리게 몸을 굴신하면서 돈다.
유의
1. 발은 수레 바퀴가 움직이듯이 뒤꿈치부터 바닥에 닿도록 한 후, 수레바퀴가 구르듯이 발바닥을 굴려서 앞 끝까지 바닥에 닿이도록 하면 발 움직임이 원활하다.
2. 손은 오른쪽 친구와 손잡을 때는 악수하는 형으로 잡고, 왼쪽 친구와는 악수의 반대형으로 잡는다.
평가
머리, 어깨, 팔, 무릎, 발을 모두 부드럽게 곡선형으로 움직이면서 흥을 내며 즐겁게 몸짓하는지 살핀다. ‘크고도 큰 수레’ 라는 주문어의 의미를 음미하는가 유의한다.
확산
이야기
나누기
빅뱅의 원리와 별자리, 달에 대한 이야기 나누기(정홍규, 2006)
새노래
소개
1. 노래들려주기 2. 챤트 따라부르기 3. 노래 따라부르기
4. 제창 및 교대창
① A팀 : 앞소리 B팀 : 뒷소리 한다.
② 앞소리와 뒷소리를 챤팅-노래-챤팅과 몸짓-노래와 몸짓 순으로 한다.
5. 깃발놀이 : 1인 또는 여러 명의 유아가 깃발을 흔들며 앞소리와 뒷소리를 지휘한다. 앞소리와 뒷소리에 따라 깃발의 방향을 달리 한다
셈여림
빠르기
몸짓이 느릴 때는 여리게, 조금 빠를 때는 보통 세기로, 매우 빠를 때는 세게 노래부른다.
리듬
1. 챤트+노랫말 리듬 손뼉 2. 노래+노랫말리듬손뼉
3. 챤트+리듬손뼉 4. 노래+리듬손뼉
5. 챤트+♩♪리듬손뼉 6. 노래+♩♪리듬손뼉
7. 리듬카드 놀이 : ‘강 강 -술 -래’와 ‘달아 달 아밝 은달아 구별하기
멜로디
1. 팔동작 멜로디하기 : 제1~2소절을 계명창-허밍-노래-피아노음에 맞춰 팔 동작 멜로디를 한다.
2. 사다리 음계 + 플라잉 노트
악기
앞소리 : 장구, 징, 북, 소고, 꽹과리, 목탁
뒷소리 : 장구, 탬버린, 트라이앵글, 우드블럭
앞소리는 한국악기, 뒷소리는 서양악기로 연주한다 (김정화, 2005).
리듬볼
짝수의 유아들이 둥글게 둘러서서 리듬볼을 두 명에 하나씩 들고서 또는 의 간격으로 옆의 유아에게 볼을 넘긴다.
2) 대문놀이
구분
내용
해설
많은 아이들이 어울려서 두 편으로 나누거나 한 아이를 왕으로 만드는 놀이이다.
악보
l l l l l l d l d l s m m m l l l l l l
문지기문지기문열어라 - 열 쇠없 어못열겠네
어 떤대문에들어갈까 - 동 대문 에들 어가
문지기문지기문열어라 - 덜 커덩 떵열 렸네
방법
1. 놀이 1 : 두 명이 마주 손잡고 높이 들면, 다른 아이들은 앞 사람의 허리를 잡고 통과하다가 마지막 음절에서 잡히는 유아를 데리고 가서 “콩 먹을래? 팥 먹을래?”하여 편을 나눈다.
2. 놀이 2 : 마지막 음절에서 잡히는 유아가 계속 빠지다 보면 마지막까지 남는 유아가 있게 되는데, 그 유아가 왕이 된다.
3. 몸짓 : 맨 앞의 1,2번 유아가 두 손을 마주 잡고 높이 들면, 다른 유아들은 3번 유아를 맨 앞으로 하여 일렬로 서서 앞 친구의 허리를 잡는다. 3번 유아를 선두로 하여 1,2번 유아가 만든 대문을 통과하고 한 바퀴를 돈 후 다시 1,2번 유아의 대문을 통과하면서 곧바로 두 명씩 대문을 만들어준다. 여러 개의 대문이 모두 만들어지고 나면 1,2번 유아부터 시작하여 다른 유아들이 만든 대문을 통과하면서 둥근 원을 만든다.
유의
대체로 앞 친구의 어깨를 짚게 되는데, 운동신경이 충분히 발달되지 않은 유아들이 뛰는 가운데 넘어지거나 다칠 수가 있으므로 앞 친구의 허리에 위치한 옷을 잡으면 가장 안전하다.
평가
여러 명이 함께 줄을 서서 움직이므로 놀이에 취하여 흥분되더라도 감정조절을 할 수 있도록 하고 여러 명의 호흡과 발걸음이 잘 맞는지 살핀다.
확산
이야기나누기
영국(런던 다리), 독일(동대문)의 전래 대문놀이
새노래소개
1. 노래 듣기 2. 챤팅 3. 따라부르기 4. 제창, 응답창
음색
음질
교사가 유아들과 문답창을 하면서 옛날의 임금, 포도대장, 할머니, 아이들, 여러 동물들의 그림을 보여주면서 유아들이 다양한 음색이나 음질로 응답창을 할 수 있도록 한다
리듬
1. 리듬카드놀이
문지기문지기문열어라 : 덜 커덩 떵열 렸네 : ♩♪♩♪♩♪
2. 신체리듬(발-손-무릎-손)
3. 손뼉리듬 : 교대 손뼉리듬
멜로디
1. 신체멜로디 :
D-발, R-무릎, E-허리, F-가슴, S-어깨, L-머리, T-도깨비뿔, D'-만세
2. 내청 : 홀수 소절 - 내창, 짝수 소절 – 노래
악기
교대 연주와 전체 합주를 비교하면서 느낌을 이야기 나눈다.
홀수 소절 : 북-Ϟ. Ϟ. 꽹과리-Ϟ.
짝수 소절 : 장구-왼. 쉼. 두. 두.(Ϟ.)
리듬볼
6~8명이 둥글게 앉아서 각 마디의 첫 음마다 다른 유아에게 볼을 던진다.
구분
내용
해설
동네 아녀자들이 고사리를 꺾는 가운데 고사리의 또르르 말려있는 끝 모양을 보면서 정겨움을 느꼈을 것이다. 고사리를 한 바구니씩 캐고 난 뒤, 둥그러니 앉아서 이야기도 나눌 것이며, 재미있는 놀이도 할 것이며, 한바탕 노래도 부르고 싶었을 것이다. 이 놀이의 형태는 태엽처럼 말려있는 고사리의 위쪽 모양을 공동체가 함께 흉내 내면서 즐겁게 노는 모습이다.
악보
고사리대사리꺾 자 나 무대사리꺾 자
S S S S DS D D S D S DS D S
유 자꽁 꽁재미나넘-자아장 장 장벌 이여
D DD DE D ED SDS S S DD DD
꺾 자 꺾 - 자 고사리대사리꺾 자
D D D S D S SS SD S D S
앞산에고사리꺽-어다-가우 리아 빠반찬하세
D DD DE D ED SDS S S DD DD
방법
유아들이 둥글게 둘러앉은 후, 번호를 정한다. 1번 유아가 2번 유아와 잡은 팔을 넘어 제자리에 와서 다시 2번 유아의 팔을 넘으면 2번 유아가 따라 온다. 1번 유아는 계속 3,4,5번의 유아의 팔을 넘고 2,3,번의 유아가 따라오면 고사리의 또를 말린 모양이 되다가 마지막에는 강강술래처럼 모두 손잡고 일어서게 되어 빙빙 돌면서 뜀박질하게 된다.
유의
친구와 손잡을 때 강강술래의 때와 같이 손잡는다. 오른쪽 친구가 자기 왼팔을 타넘고 자기도 일어서서 왼쪽 친구팔을 넘을 때 손을 자연스럽게 뱅글뱅글 돌려서 원활하게 잘 돌도록 한다.
평가
즐겁게 노래부르면서 주의집중을 잘하여 자기 역할을 잘 해내지 평가한다. 책임을 다하면서도 고사리의 돌돌 마려가는 모양을 감지하는가 살핀다.
확산
이야기
나누기
봄철의 자연에 대한 이야기를 나눈 후, 고사리의 생태에 대하여 탐색하고 이야기 나눈다.
새노래
소개
1. 노랫말 의미 이해 2. 교사의 범창
3. 챤팅과 노래 따라부르기 4. 교대창과 제창
음의 짜임새
한 소절씩 교대로 노래/노래+악기로 연주한다.
리듬
1. 리듬카드놀이
고사리대사리꺾자 :♪♪♪♪♪♪ 아장장장 벌이요 : ♪♩♩♪♩♪
2. 무릎리듬 : 왼. 왼 오 왼. 오.
멜로디
1. 오스티나토 : 꺾(S) 자(S) 꺾(D) 자(D)
2. 허밍 캐논 : 6/8박 뒤를 따르면서 허밍으로 캐논한다.
악기
피아노 : 교사가 연주 실로폰 : S. S. D. D. 의 반복
북/소고 : 목탁 : Ϟ.Ϟ. 꽹과리 : Ϟ.Ϟ.
리듬볼
스킵하면서 홀수 소절은 쉬고 짝수 소절은 Ϟ.Ϟ. 리듬으로 친다.
3) 고사리 꺾자
4) 청어엮자
구분
내용
해설
옛날부터 서해안 지방에서는 청어가 많이 잡힌다고 한다. 청어 잡은 배가 들어오는 날이면 주민들은 이집 저집에 품앗이를 하면서 서로 정을 내며 도와준다. 어른이 가는 곳에 아이가 따라가기 마련이라서, 품앗이하는 그 집은 많은 사람들로 북적거리게 된다. 아이들은 청어 엮는 모습을 흉내 내며 놀게 된다. 이 노래는 아이들이 스스로 청어가 되고 자신의 팔이 새끼줄이 되어 엮어졌다가 풀어졌다가 하면서 노는 놀이이다.
악보
청 청 청 어엮 자/위 도군산에청 어엮자 /두둥 두둥 엮 어다 가/둑 대위 에널 었다가
신랑 각 시잔 치상 에/덩 그랗 게상 차리자 /신랑 각시 청 어구우면/야 금야-금잘 도먹네
청 청 청 어풀 자/위 도군산에청 어풀자 /설피 설피 청 어풀 자/위 도군산에청 어풀자
L L ELDT LE L/E LE L E L LE E /RD DDTLDT L E L/E L E LE L LEE
방법
손을 잡고 일렬로 선다. 맨 오른쪽 앞에 선 1번 유아가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걸으며 돌면 자신의 왼팔이 자신의 목을 감으면서 자신의 몸은 청어가 되고 자신의 팔은 청어를 엮은 새끼줄이 된다. 1번 유아가 2번 유아와 3번 유아가 마주 잡은 팔 밑으로 허리를 숙여 들어가고 2번이 따라가면 2번도 1번 유아처럼 자신의 팔로 자신의 몸을 엮게 된다. 1번 유아는 3번 유아와 4번 유아가 마주 잡은 팔 밑으로, 4번 유아와 5번 유아가 마주 잡은 팔 밑으로 식으로 나아가고 2,3,4번 유아들이 따라온다. 다 엮어지고 나면, 1번 유아가 왼쪽에서 오른쪽 방향으로 걸으면 자연스럽게 팔이 풀리고 2번과 3번 유아의 팔 밑으로 들어가면 완전히 풀리게 된다. 이어서 2,3,4번 유아들도 따라가면 자연스럽게 풀리게 된다.
유의
서로 팔이 당겨서 전체가 귬형을 잃을 수가 있으므로 유연하게 천천히 흥을 내면서 놀이하는 것이 중요하다.
평가
청어가 된 느낌이 어떠한지 서로 이야기 나누어보도록 한다. 팔은 새끼줄이 되는데 새끼줄의 역할을 잘 할 수 있었는지 이야기 나누도록 한다.
확산
이야기
나누기
청어가 많이 잡히는 서해안 지역, 청어말리기, 청어요리, 신랑각시 등에 대하여 이야기 나눈다.
새노래
소개
1. 노랫말의미 이해 2. 교사의 범창, 따라부르기, 제창
3. 교대창 : A팀 - 홀수소절 B팀 – 짝수소절
리듬
1. 리듬 카드 놀이
청청청어엮자 :♩♪♩♪ 위도군산에청어엮자:♩♪♪♪♪♩♪♪♩
2. 리듬 2중주 : A팀 -♩♪♩♪ B팀 - 노랫말 손뼉리듬
3. 손뼉 리듬 오스티나토 : ♩♪♩♪
4. 무릎 리듬 오스티나토 : 두. 왼 오왼 오오.
멜로디
1. 발기호 : 제1소절을 노래 부르면서 오선 음표에 오른발과 왼발로 짚는다.
2. 내청 : 각 소절의 앞 6/8박자동안 노래부르고 뒷 6/8박자동안 내청한다.
3. 노래 오스티나토 : 1절 : 두둥두둥두둥두둥 2절 : 야금야금야금야금
3절 : 설피설피설피설피 (S♪S♩D♪D♩D♪D♩D♪D♩)
악기
실로폰 : 홀수소절 DDDD
멜로디온 : 짝수소절 S♩D♪S♪D♪S♪D♩D♪S♪S♩
징 : 홀수소절의 첫 음 소고 : Ϟ. 목탁 : Ϟ.Ϟ.♩♪♩♪
꽹과리 : Ϟ.Ϟ. 장구 : 두왼♩오♪왼♩오♪오
리듬볼
9명의 유아가 한 줄로 선후, 볼 하나를 각 소절의 6/8박마다 볼을 건넨다.①옆으로 건네기 ②어깨너머로 건네기 ③머리 위로 건네기를 한다.
(5) 덕석몰이
구분
내용
해설
옛날, 우리나라에서는 야채와 열매 등을 햇볕에 말리기 위하여 집집마다 멍석이 하나씩 있었다. 멍석에 야채 등을 채썰어서 말리다가 비가 올 적에는 마당에 펼쳐두었던 멍석을 두르르 말았고 해가 나면 다시 멍석을 펼쳐서 말렸던 것이다. 멍석을 돌돌 마는 모양과 펼치는 모양을 아이들은 신기해하며 흉내 내었다. ‘덕석’은 ‘멍석’의 옛 말이다. 놀이하면서 맨 앞의 유아가 뒤편 아이들을 몰고 가는 것처럼 보여서 ‘몰이’라는 말을 붙이게 되었다.
악보
몰 자몰 자 덕 석몰 자 / 비 온 다 덕 석몰 자
풀 자풀 자 덕 석풀 자 / 비 갰 다 덕 석풀 자
L L L E L DL L / L L E L DL L
방법
여러 명이 줄지어 서서 손잡고는 맨 앞의 유아가 뒤편 아이들을 이끌고 가면서 태엽형으로 안으로 안으로 몰고 들어간다. 전체가 똘똘 뭉쳐지게 되면 ‘풀자풀자’ 라면서 방향을 바꾼다. 아이들은 그대로 따라오면 전체가 풀리게 된다. 다시 ‘몰자몰자’ 라면서 안으로 몰고 간다. 말다가 풀다가 하면서 놀이를 계속 잇는다.
둥글게 선 후, 1번 유아가 안으로 점점 말듯이 걸어가면 전체가 따라간다. 걸어갈 수도 있고 신명이 나면 뛸 수도 있다. 계속 걸어가면 멍석이 돌돌 말린 모양으로 전체가 뭉쳐지게 된다. 1번 유아가 방향을 돌려 걷고 뒤따르는 유아들은 가던 방향으로 계속 따라가면 전체가 풀어지게 된다. 이러한 방법을 여러 번 반복할 수 있다.
유의
리더가 ‘풀자풀자’ 라고 할 때 뒤편의 유아 각자가 풀면 안 된다. 뒤편 유아들은 방향을 바구지 말고 대장을 따라가기만 하면 된다.
평가
유아들이 최대한 말렸을때 ①똘똘 뭉쳐진 느낌을 받았는지 ②동지애를 느꼈는지 ③뭉치면 신나고 아름다운 우정이 이루어진다는 것을 느꼈는지 알아본다.
확산
이야기
나누기
우리나라의 기후, 자연산물, 민속음식, 음식 갈무리법, 멍석의 용도 등에 대한 이야기를 나눈다.
새노래
흥을 내며 교대창, 제창 등을 한다.
리듬
무릎리듬 : 두()두() Ϟ.Ϟ.
뛰기리듬 : 노래부르며 교사의 큰북소리에 맞춰 자유롭게 스킵하기
멜로디
1. 코다이 손기호 :
① 계명창 ② 허밍 ③ 노래 ④ 피아노에 맞춰 코다이 손기호를 한다.
2. 멜로디 창작 놀이
‘몰자몰자’ 부분을 다양한 방법으로 멜로디 창작한다.
① 콩주머니 던지기, 음자리 짚기, 찍찍이 음표 붙이기, 5음 중 선택하기 등의 방법으로 한다.
② 유아 1명이 ‘몰자몰자’의 네 음을 모두 선택할 수도 있고, 1명이 1음씩 4명이 참여할 수도 있다.
형식
교사가 ‘몰자몰자 덕석몰자’의 리듬형을 감게 도는 다르게 함으로써 유아가 분별할 수 있도록 한다.
악기
꽹과리, 큰북 : Ϟ.Ϟ. 소고, 목탁, 우드블럭 : Ϟ.Ϟ.♩♪
리듬볼
리듬으로 ①앉아서 치기 ②서서 치기 ③제자리걸음하면서 치기 ④걸어가면서 치기 등을 한다.
Ⅳ. 연구방법
1. 연구대상
연구자는 대한민국 대구지역에서 보편적인 수준급인 한 유치원의 원아들 두 집단을 대상으로 하여 각 집단별 여아 13명, 남아 13명씩 배정하였다.
2. 연구도구
본 연구도구는 연구자가 개발한 7문항으로서 걷기리듬, 손뼉리듬, 언어리듬, 허밍, 같은 음찾기, 악기표현, 창의적 표현 등을 측정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으며, 각 문항은 5점 척도(1점~5점)로 되어 있고 점수가 높을수록 효과정도가 높다.
3. 연구절차
연구자는 두 집단에게 2008년 3월 10일에 사전검사를 한 후, 5월 23일에 사후검사를 하기까지 25회의 음악수업을 하였다. 실험집단의 유아들에게는 코다이교수법을 적용한 강강수월래 지도를 실시하고, 비교집단의 유아들에게는 일반교육과정에 의한 일상적 음악지도를 하였다. 1회의 지도시간은 30분으로 정하였다.
4. 자료처리
본 연구를 위한 자료의 처리는 수집된 자료를 SPSS 14.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다음과 같이 분석 처리 하였다.
1) 코다이교수법을 적용한 강강술래 지도가 유아의 음악성 개발에 효과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공분산 분석을 실시하였다.
2) 사전-사후에 따라 코다이교수법을 적용한 강강술래 지도가 유아의 음악성 개발에 효과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대응표본- t검증을 실시하였다.
3) 성별에 따라 코다이교수법을 적용한 강강술래 지도가 유아의 음악성 개발에 효과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독립표본- t검증을 실시하였다.
Ⅴ. 연구결과 및 해석
1 . 음악성 전체효과
코다이교수법을 적용한 강강술래 지도에 참여했던 실험집단은 비교집단에 비해 음악성 점수가 유의미하게 증진된 것으로 나타났다. 비교집단에서도 사전-사후에 따른 음악성 차이는 사전보다 사후의 음악성 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났으나, 실험집단에서는 사전보다 사후의 음악성 효과가 더욱 큰 것으로 나타났다.
2. 음악성 하위 영역 효과
비교집단에서는 사전에 비해 사후인 경우 음악성 하위영역 중 걷기리듬, 손뼉리듬, 언어리듬, 선율감, 창의성의 점수들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음정감과 표현력에서는 사전과 사후에 유의미한 변화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코다이교수법을 적용한 강강술래 지도에 참여했던 실험집단은 비교집단에 비해 음악성 하위영역인 걷기리듬, 손뼉리듬, 언어리듬, 선율감, 음정감, 창의성, 표현력 점수가 유의미하게 더욱 증진된 것으로 나타났다.
Ⅳ. 결론
오늘날의 유아들에게 한국전통문화의 정수를 계승하여 실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강강술래가 으뜸임은 의심할 바가 없다. 강강술래를 유아들이 음악적으로 쉽고도 재미있게 배우고 유아들의 성장발달 수준에 맞도록 프로그램을 구성하기 위해서는 코다이 교수법을 적용함이 마땅하다.
본 연구에서와 같이 강강술래 프로그램에 코다이 교수법을 적용함으로써 유아들은 아래와 같은 음악적 성장을 도모할 수 있겠다.
1) 셈여림ㆍ빠르기ㆍ리듬ㆍ음의 고저ㆍ음색ㆍ짜임새ㆍ형식ㆍ음질에 대한 음악개념을 체득하도록 한다.
2) 다양한 음악 행위를 통하여 즐겁고도 신나는 음악체험을 하게 된다.
3) 삼박자를 실현함으로써 삶의 유연성, 부드러움, 슬기로움, 지혜를 배울수 있다.
4) 강강술래의 속도나 흥과 신명의 정도에 따라 몸짓이 달라지므로 음악적 순발력을 기르도록 한다.
5) 우리 전통음악의 특성을 체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강강술래는 전통으로서만이 아니라 오늘날의 유아교육에 확장되고 연계될 거리가 많다. 유아를 위한 강강술래 지도가 다각적으로 연구됨으로써 유아들이 강강술래를 통하여 종적으로는 시대적인 교감을 맛보고 횡적으로는 여러 영역에 걸쳐 전인적인 개발에 활용할 수 있길 바란다.
참고문헌
김경숙(1991), 강강술래춤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논문.
김동욱(1990), 한국 민속학, 새문사.
김정화(1998), Annual Curriculum of Korea's Traditional Nursery Rhyme Instruction Applied to the Kodaly Method, International Kodaly Society, Vol.23 no.1
______(2002), 유아전래동요지도의 이론과 실제, 양서원.
______(2005), 코다이 시스템을 적용한 강강술래 음악지도에 대한 연구, 한국코다 이협회 창립 10주년 국제학술대회 발표논문집.
노동은(2001), 두 번째 음악상자, 한국학술정보.
______(2002), 한국음악론, 한국학술정보.
노정숙(1995), 한국민속집단무용의 고찰-강강술래를 중심으로, 중앙대 석사논문.
민속학회 (1999). 한국민속학의 이해. 문학아카데미
성경희(1988), 유아들의 음악세계, 세광음악출판사.
손인수(1995), 한국교육의 뿌리, 배영사.
심우성(1996), 우리나라 민속놀이, 동문선 문예신서 100, 동문선.
안승현(2001), 민족무용학적 관점에서 강강술래 춤의 팔동작 의미연구, 이화여대 석사논문.
안재신(1996), 유아음악교육, 교육과학사.
우실하(1997), 한국전통문화의 구성원리에 대한 연구, 연세대학교 박사논문.
이영이(1991), 민속무용을 통해서 본 한국인의 의식구조에 관한 연구, 조선대학교 석사논문.
이형구(1999). 단군과 고조선, 살림터.
임동권(1986), 한국의 민요, 집문당.
임재해(2004), 민속문화의 생태학적 인식, 당대출판사.
전송배ㆍ모형오(2004), 유아국악교육, 양서원.
정홍규(2006), 우주의 집안에, 대건인쇄출판사.
조긍호(2003), 한국인 이해의 개념들. 나남출판.
조홍기 역 (1994). 코다이 음악교수법. Erzsébet Szőnyi. Kodàly's Principles in Practice. 다라 출판사.
한명희(1995), 우리 가락 우리 문화, 조선일보사.
한흥섭(2002), 한국의 음악사상, 민속원.
Andress, B. L.(1973), Music in Early Childhood, Washington D. C. MENC.
Aranoff, F. W.(1971),Games Teachers Play ; Dalcroze Eurhythmics, Journal 57.
Choksy, L.(1962), The Kodàly Context, Prentice-Hall Inc. Englewood Cliffs, New Jersey.
McDonald, D. T.(1979), Music in Our Lives : The Early Years, Washington D.C., National Association for the Education of Young Children.
Nye, V.(1975), Music for Young Children, Dubuque Iowa : W.M.C. Brown Company Publishers.